본문 바로가기
  • 창의예술융합영어교육연구소
카테고리 없음

Memories of Mozart

by 예술융합영어디렉터 2006. 5. 11.
Memories of Mozart



The music of Wolfgang Amadeus Mozart is everywhere around us. The background music for subway information telling where you can transfer to other lines is a piece by Mozart. The music is the 3rd movement of Mozart's K525 serenade. At the last station on a line, Mozart's Piano Sonata 11 plays with the announcement of "Before leaving the train, make sure you take all your belongings with you."

In Philippe Sollers' book "Mysterieux Mozart," the author writes, "Every modern person lives with Mozart's music." on cellular phones, elevators and in shopping malls, Mozart's music is there. Speaking extremely, people are born having listened to Mozart's "Die Zauberfloete" while inside their mothers' wombs, go on dates with "Le Nozze di Figaro" as their theme music and are buried to the sound of "Requiem." It is not an exaggeration that Mozart could buy all of Austria if he was alive today and able to receive copyright royalties on all his music.

However, when Mozart was alive he was always pressed for money. His worst year was 1789. A letter he wrote to his fellow Freemason Johann Michael Puchberg details his needy circumstances as follows.

"If you, as a close friend and brother of mine, discard me, then my poor and sick wife, all my children and I will have no other way to survive. Sadly, I am a very unlucky person and whatever I do, it is hard to earn any money. I have passed out a reservation list of a recital for 14 days, but Swieten was the only one who wrote his name on the list."

Although he was poor when alive, today Mozart feeds practically all of Salzburg. In that city, almost everything from t-shirts, pencils, ashtrays, cigarette lighters to even beer and golf balls has a Mozart brand. The famous Kugel chocolate, with Mozart's face on the wrapping, has sold over one hundred million pieces overseas, which is 58 billion won ($59.5 million) worth. Salzburg has evaluated the brand value of Mozart at 5.4 billion euro or 6.4 trillion won. That is higher than the brand value of Phillips ― 4.9 billion euro ― and Volkswagen at 4.6 billion euro.

The brand power of Mozart comes from familiarity. It is different from Beethoven's music, which is strict, or Bach's devout music. Mozart's music is bright, easy, fun and sweet. It fits well with the brand awareness of modern people. Mozart is like a friend or lover that it is hard to separate from. Albert Einstein described Mozart as follows. "When someone dies, it means that person can no longer listen to Mozart's music."

The 250th anniversary of Mozart's birthday is this Friday. Happy Birthday, Mozart!

The writer is a deputy business news editor at the JoongAng Ilbo.


by Yi Jung-jae<jjyee@joongang.co.kr>

모차르트

모차르트는 어디에나 있다. 지하철 환승역 안내 방송 ‘이번 역은 00, 00역입니다. 내리실 문은 오른(왼)쪽입니다' 에 깔리는 배경 음악. 모차르트 작품번호(K)525 세레나데 3악장이다. 종착역엔 ‘피아노 소나타 11번'이 흐른다. ‘내리실 때는 차 안에 두고 내리는 물건이 없는지, 다시 한번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모차르트 올림.'

필립 솔레르스는 『모차르트 평전』에서 "현대인은 누구나 모차르트 속에서 살고 있다"고 했다. 휴대전화에도, 전화 대기음에도, 엘리베이터에도, 쇼핑몰에도 모차르트는 있다. 현대인을 극단적으로 표현하면 어머니 뱃속에서 ‘마술피리'를 듣고 세상에 나와, ‘피가로의 결혼'을 테마곡으로 삼아 짝을 찾고 ‘레퀴엠'의 선율아래 영면한다고 한다. 모차르트가 살아 있어서 저작료를 받는다면 오스트리아를 통째로 살 수 있을 것이란 말도 그리 과장이 아니다.

하지만 생전의 그는 늘 돈에 쪼들렸다. 1789년이 최악이었다. 그가 당시 프리메이슨 동료였던 푸흐베르크에게 쓴 구걸조 편지엔 이런 궁색함이 절절이 담겨있다.

"절친한 친구이자 형제인 당신이 나를 버린다면, 나와 불쌍하고 병든 아내, 그리고 아이들까지 어찌할 도리가 없는 처지가 됩니다. 슬프게도 운이 너무 나빠서 아무리 해도 돈이 벌리지 않습니다. 14일간 연주회 (예약)명부를 돌렸지만 이름을 올린 사람은 슈비텐 한 사람뿐입니다…"(로빈스 랜던 『모차르트의 마지막 나날』)

살아선 궁핍했지만 죽은 뒤 그는 고향 잘츠부르크시를 먹여살린다. 이 도시엔 티셔츠와 연필, 재떨이와 라이터는 물론 맥주와 골프공까지 웬만하면 다 모차르트 표다. 그의 얼굴을 인쇄한 초콜릿 모차르트 쿠겔은 지난해 1억개, 약 580억 원어치가 수출됐다고 한다. 잘츠브르크시는 모차르트의 브랜드 가치를 54억 유로(약 6조4000억원)로 평가했다. 필립스(49억 유로)나 폴크스바겐(46억 유로)보다 높다.

모차르트의 이런 브랜드 파워는 ‘친숙함'에서 나온다. 베토벤의 운명적인 엄격함이나 바흐의 경건함과는 다르다. 모차르트는 밝고 쉽고 재미있고 감미롭다. 현대인의 브랜드 코드와 그대로 들어맞는다. 뗄레야 뗄 수 없는 친구 같은, 사랑 같은 모차르트를 그래서 앨버트 아인슈타인은 이렇게 표현했다. "죽는다는 것은 더 이상 모차르트를 들을 수 없게 된다는 의미다."

그 모차르트가 모레(27일) 250회 생일을 맞는다. 생일 축하해요. 모차르트.

이정재 경제부문 차장

댓글